★ 재테크 ★/은행계좌

농협 6개월 예금 4.77% 비대면 가입 방법 및 후기 (NH 올원e예금 추천 )

돈뻘 2022. 11. 30. 23:58
반응형

서두.. 글에 앞서 (예금 금리 인상 눈치 게임)

농협 6개월 예금에 가입했다. 계속 파킹통장에 보관하고 있다가 결국 예금 가입을 진행했다. 지속되는 금리인상 기조에 예금금리가 경쟁하듯 치솟았고 너도 나도 통장갈아타기에 본격 은행 예금 치킨게임이 지속되는 듯 싶었으나..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의 예금 금리 경쟁 과열 경고장에 몇몇 은행은 예금금리를 다시 일부 낮추기 까지 하였다.(우리은행 등) 물론 당연히 발빠르게 예금 이자를 올린 1금융 은행도 있다. K뱅크의 경우 12개월 만기 예금 금리를 5%까지 맞추었다.

 

사실 보기 좋은 모습은 아니었다. 1금융 은행의 예금금리 인상에 저축은행이 울며 겨자먹기로 금리를 따라 경쟁적으로 올리는 모습은 미국과 우리나라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미국이 올리면 한국도 올려야 되는 식. (미국이 국민은행이라면 한국은 전남 신안에있는 어디 새마을금고 쯤 되지 않을까...ㅠㅡㅠ)

어찌되었든 미국 연준과 한국은행 본인들의 상황이 1금융 은행과 저축은행과의 관계의 공통분모에 딥(DEEP)하게 몰입 되어서일까? 한국은행은 꽤나 강한어조로 예금 금리 인상을 경고하였고, 그 발언은 꽤나 효과가 있었다.

 

예금금리가 오르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나 역시, 더이상의 강한 이자 인상은 없을 것이라 판단하고 결국 쌈짓돈을 맡기기로 결정했다. 

 

농협 NH 예금 통장을 선택한 이유

많고 많은 예금 상품 중에 농협을 선택한 이유는 3가지 이다.

 

첫째, 믿을 만한 1금융 은행 일것.

둘째, 예금 금리가 높을 것.

셋째, 예금 만기 기간이 짧을 것.

 

위의 세가지 이유 중에 특히 세번째 이유인 만기 기간이 짧다는 것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 내일 일도 모르는데 내년은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있을까? 아마 내년에는 지금보다는 조금이라도 더 금리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기에 6개월의 짧고 높은 이율의 상품은 큰 매력으로 보였다.

 

아래의 사진은 현재(2021.11.30) 기준 6개월 예금 상품의 리스트이다. 물론 1금융권 상품만 모아 놓았다.

 

6개월 예금
6개월 예금

내 눈에 들어온 은행은 아래의 네가지 은행이었다.

(농협 / 우리 / 하나 / K뱅크)

 

최종적으로 나는 농협과 K뱅크를 두고 고민하였다.

농협은 가장 높은 이자를 보장하지만 어플의 편의성이 좀 떨어진다.

반면에 인터넷 전문은행인 K뱅크는 어플 편의성이 너무 좋고 모바일 이벤트 등의 재미요소도 다분하다.

하지만.. 예금이야 어짜피 넣어놓고 만기 까지는 열어볼 일이 별로 없으니 결국 이자가 높은 농협으로 선택하였다.

 

휴대폰 모바일 비대면으로 NH 올원e예금 가입하는 법

 

 

농협 예금 가입

 

 

농협 예금 가입

 

 

농협 예금 가입

 

1) 메인화면 -> 2) 금융상품몰 -> 3)농협은행 -> 4) 정기예금

위의 순서대로 터치하여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NH올원e예금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품을 선택하면 현재 날짜에 맞는 적정이자를 확인해볼 수 있다.

 

농협 예금
농협 예금

위의 사진은 농협 NH올원e예금의 이자표인데, 자세히 보면 특이한 점이 있다. 기간 만기는 36개월 이상 가입이 가능하나 이자는 12개월 만기일 경우가 가장 높다. 또 6개월 만기와 12개월 만기의 이자 차이가 거의 없어서 6개월 만기로 예금 약정을 하는 것이 가장 이득일 가능성이 높다. 아마 내년 언제쯤에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으로 시사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자율

6개월 : 4.77 %

12개월 : 4.8% + 0.3%

(12개월을 꽉 채울경우 0.3% 추가이자 지급)

24개월 : 4.48% 

36개월 : 4.38%

※ 납입한도 : 10억원 이내

 

이자 지급법

1) 만기 일시 지급

2) 월 지급

월 지급의 경우 만기 지급 대비 0.1% 차감되어 지급되어진다.

※ 만기 전 분할 해지는 2회 가능

※ 분할 해지시 분할 해지 부분에 대해서는 중도금리가 적용

 

농협 예금

 

이후의 과정은 어렵지 않다. 자신의 농협은행 계좌에 예금할 금액을 채워놓고 계약서 확인 후 진행하면 농협은행의 입출금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가 예금계좌가 생성된다. 나의 경우에 만기는 23년 5월 30일이다. 과연 그때는 경제상황이 어떨지 궁금하다. 그때쯤이면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 시기를 놓고 고민하지 않을까? 예금이자는 내년 초가 가장 피크가 되지 않을까 싶다. 그때 되면 다른 은행 예금 상품을 찾아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반응형